용어 정리

☞감염 infection :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한 뒤 증식하여 세포와 조직에 병리 변화를 일으켜 증상과 증후를 나타내거나, 면역 반응을 야기하.        

                             는 상태이다.

☞잠복기 incubation period : 감염 시작 시점부터 증상과 증후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기간

☞세대기 generation period : 감염 시작 시점부터 균 배출이 가장 많아 전파력이 가장 높은 시점까지의 기간

☞잠재기간 latent period : 감염이 일어났으나 병원체가 숙주에서 발견되지 않는 기간, 감염의 전파가 일어나지 않는 기간

☞개방기간 patent period : 감염 후 병원체가 숙주에서 발견되는 기간. 감염의 전파가 가능한 기간

 

잠복기와 세대기는 사람 중심으로 볼 때, 잠재기간과 개방기간은 병원체 중심으로 볼 때 쓰는 용어이다.

 

 

호흡기 감염병의 자연사

 

 

호흡기 감염병의 경우 잠복기 말기부터 증상발현기간 초기에 기침에 의한 비말과 객담, 콧물 등의 분비물이 증가하여 병원체가 다량 배출되어 전파력이 강하다. 이 시기가 지나면 전파력은 감소한다. 전파력이 가장 강한 시기에 무증상이기 때문에 환자를 발견한 뒤에 시행하는 격리 조치의 효과가 제한적이다. ㅠㅠ

 소화기 감염병의 경우는 증상이 가장 심한 시기가 지난 뒤 병원체가 배출 → 격리 효과가 크다.

 

 

감염력이란?

감염력 infectivity : 병원체가 숙주 내에 침입 증식하여 숙주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능력.

 

  감염력 = {감염자 수(현성 감염 + 불현성 감염) / 총 감수성자 }×100

 

  cf) 불현성 감염은 감염은 되었으나 증상과 증후가 없는 상태의 감염을 말한다.

 

 병원력 pathogenecity : 병원체가 현성감염을 일으키는 능력

 

감염재생산수?

기초감염재생산수 Ro : 모든 인구가 감수성이 있다고 가정할 때 감염성이 있는 환자가 감염 가능 기간 동안 직접 감염시키는 평균 인원 수

 

감염재상산수 R = Ro - p×Ro 

( p = 지역사회에서 질병에 대해서 면역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비율 )

 

검역과 격리

검역 quarantine : 감염병 유행 지역에서 들어오는 사람(동물 및 화물 포함)에 대하여 검역 기간에 일정한 장소에 머물게 하거나 유숙하는  

                          곳을 신고하도록 하는 것

      -검역 기간: 콜레라 5일, 페스트 6일, 황열 6일,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10일,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10일,

                        

격리 isolation : 감염병을 전파시킬 우려가 있는 감염자(환자, 보균자)를 전염력이 없어질 때까지 감수성자들로부터 떼어 놓는 것.

                        격리기간은 질병의 감염가능 기간. 환자나 보균자에게서 균 배출이 되지 않을 때까지이다.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

과거 없었거나 문제가 되지 않았던 감염병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유행하는 경우, 또는 한 때 만연하던 감염병이 감소하거나 없어졌다가 다시 재출현한 감염병

2003년 SARS, SARS Urbani corona virus, China

2009년 pandemic influenza A H1N1 2009, Influenza A H1N1 virus, Mexico

2009년 severe febrile thrombocytopenic syndrome, SFTS virus, China

2012년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corona virus, Saudi Arabia

2013년 Avian Influenza A(H7N9), Influenza A(H7N9), China

2014년 Ebola virus disease in West Africa, Ebola virus, West Africa

2007~2016년 Zika virus disease, Zika virus, Asia, Latin america

 

검역법 일부

제2조(정의)

1. "검역감염병"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콜레라

나. 페스트

다. 황열

라. 중증 급성호흡기 증후군(SARS)

마.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바. 신종인플루엔자

사.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아. 가~바목까지의 것 외의 감염병으로서 외국에서 발생하여 국내로 들어올 우려가 있거나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여 외국으로 번질 우려가 있.   어 보건복지부장관이 긴급 검역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감염병

 

검역감염병 환자와 의사환자는 격리가 필요하고, 의심자는 감시 또는 격리가 필요하다.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정리해서 올려보도록 할게요!

 

 

출처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제3판, 대한예방의학회, 계축문화사

         검역법 제2조

'의학 공부 > 예방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COVID-19 치료제  (0) 2020.02.29

☆섬망 delirium 의 유래 

'~out of' 를 뜻하는 라틴어 'de' 와 '밭고랑 furrow'을 의미하는 'lira'에서 유래하였다. 

'인지기능, 주의력, 의식이 틀에서 벗어났다' 정도의 뜻을 추정할 수 있을 것 같다.

 

★ 섬망의 예시

60세 여자 환자가 고혈압으로 심장내과에 입원하였다. 오후까지 이상 증세는 보이지 않았지만, 밤이 되어 병실에서 나와 의사를 만나 "아침을 지어야 하는데.." 라고 하며 부엌으로 데려다주길 요청하였다. 

→시간과 장소에 대한 지남력에 장애를 보이고 있다. 

 

  cf) 지남력 : 시간과 장소, 상황이나 환경 따위를 올바로 인식하는 능력

 

★ 개념

 섬망은 주의력, 의식 수준, 인지 기능의 저하를 일으키는 증후군이다. 

증후군이란 하나의 질환명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생긴 이러한 증상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뇌 자체의 문제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고, 뇌가 아닌 다른 신체의 문제가 뇌의 기능에 문제를 일으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염, 저산소증 hypoxia, 약의 부작용, 약의 금단, 알콜 남용, malnutrition, 심한 통증 등이 있습니다.

 보통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히 발생하고, severity와 clinical features 의 일중 변동이 있고, 원인 제거로 빠르게 호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But, 임상 특성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섬망은 환자 상태를 악화시켜 심한 경우 사망률을 높일 수 있고, 입원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섬망으로 인해 의식 수준이 떨어지고, 지남력 장애로 인해 행동 장애가 나타나면 외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그 외에도 폐렴, 욕창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입원 환자들의 상태를 체크할 때 인지 기능, 지남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역학

cf) 역학이란 인구집단에서 질병의 분포양상과 이 분포양상을 결정하는 요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소아, 성인, 노인까지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다.

전체 중환자실의 30%, 소아 중환자실의 13~28%의 환자에서 섬망이 나타난다.

특히 노인에서 그 유병률과 발생률이 높은데, 중환자실 환자의 70~87%에 이른다. 

 

★ 임상양상

주증상 : 인지기능의 저하가 동반되는 의식의 장애. 기분, 지각, 행동의 장애도 흔히 나타나며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주의력의 저하

주변환경에 대한 각성도 awareness 저하

지남력 장애

기억력 장애

시각 구성 능력, 실행 기능 영역에서의 장애

사고 과정 및 내용의 장애

지각 장애 : 환각 hallucination, 착각 illusion, 착오 misidentification, 이인증 depersonalization, 비현실감 derealization

정신운동활성의 증가 또는 감소

수면-각성 주기의 변화

 

Subtype으로 과활동성, 저활동성, 혼합형이 있다. 

안절부절 못하는 과활동성 상태는 가장 드물지만 가장 흔하게 진단된다.

저활동성은 1/3 정도로 눈치채기 힘들어 놓칠 수 있다.

혼합형이 가장 흔하다. 과활동성과 저활동성 사이에서 증상 변동을 보이며 주로 밤에 과활동성 양상을 보인다.

 

★ 진단기준 DSM-5

A. 주의력 장애(주의를 돌리고, 집중하고, 유지하고, 이동하는 능력의 감퇴)와 인식 장해(환경을 파악하는 능력의 감퇴)

B. 장해가 단기간 동안(대개 몇 시간에서 며칠) 발전되고, 기준 시점의 주의력과 의식으로부터 변화가 있으며, 하루 중에도 증상의 심한 정도가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C. 추가적인 인지 장애 (예: 기억력 장해, 지남력 장해, 언어 장해, 시공간 장해, 또는 지각 장해)

D. 진단기준 A와 C의 장해가 다른 이전의, 확정되거나 발생된 신경인지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각성 수준의 심각한 감퇴 (예: 혼수) 상태에서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E. 장해가 다른 의학적 상태. 물질 중독, 또는 금단 (예: 약물 남용 또는 처방약물에 의한) 또는 독성의 노출, 또는 여러 원인들에 의한 직접적 생리적 결과라는 병력, 신체 검사 또는 검사실 검사 소견과 같은 증거가 있다.

 

 

 

출처: 신경정신의학 3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https://en.wikipedia.org/wiki/Delirium 위키피디아 - delirium

 

 

'의학 공부 > 정신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관련장애 - 흡연, 니코틴 중독, 금단  (2) 2020.03.02

※ 임신 주수

 보통 임신 나이는 최종 월경일(LMP, last menstrual period. 마지막 월경의 시작일) 후 얼마나 지났는지로 표시한다. 실제 난자와 정자가 만난 수정 나이 (fertilization age) 와는 2주 정도 차이가 있다. 생리 시작 후 14일 째에 황체형성 호르몬 luteinizing hormone의 농도가 최고에 이르고 배란을 촉진한다. (LH surge). 이를 통해 생리 시작 14일 후를 수정 시기로 추정할 수 있다. 

 임신 나이는 의학 용어로 gestational age라고 한다. GA 8주 = 임신 8주 = 마지막 월경 시작 후 8주 = 수정 후 6주

 

※ 산과력 기술하기

산과력이란 임신경력과 출산력에 대한 정보를 말합니다. 산부인과적 진료, 진찰 시 참고할 중요한 정보입니다.

 

-용어에 대한 정의

 임신경력 gravidity 

1. 미임부 nulligravida : 임신의 경험이 한 번도 없는 여성

2. 초임부 primigravida : 첫 임신 상태이거나  한 번의 임신을 경험한 여성

3. 다임부 multigravida : 두 번 이상의 임신을 경험한 여성

 

 출산력 parity : 생존 능력(GA20주 이상)을 가진 태아를 분만한 횟수

1. 미산부 nullipara : 20주 이후 생존 또는 사망 태아의 분만 경험 없는 여성

2. 초산부 primipara : GA20주 이후의 태아 분만 경험이 1회인 여성

3. 경산부 multipara : GA20주 이후의 태아를 분만한 경험이 2회 이상인 여성

*주의할 점 

 Dead fetus라도 임신 20주가 지난 후 분만한 경우 출산력에 포함된다.

쌍둥이를 분만한 경우 1회로 계산한다. 

 

-산과력 기술 방법

순서 : fullterm. -  preterm. - abortion. -  living child

         만기분만.     조산.           유산            생존아

 

예) 임신 17주의 34세 임산부. 10년 전 만삭 분만한 아이가 생존. 7년 전 임신 14주에 자연 유산, 5년 전 무월경 8주 자궁외 임신으로 자궁관 절제술.

 만기 분만은 1회, 조산한 경력은 없음. 7년 전 20주 이전의 태아를 유산. 5년 전에도 20주 이전에 유산. 

   

      1 - 0 - 2 - 1

 

 

 

 

출처 reference : 25th edition, Williams OBSTETRICS, Mc Graw Hill

                          제5판, 산과학, 대한산부인과학회

                          5th edition, Obstetrics Normal and problem pregnancies, CHURCHILL LIVINGSTONE

 

 

- 출산 birth : 제대의 절단 또는 태반의 부착 여부와는 관계없이 태아가 모체로부터 완전히 산출되거나 또는 견출됨. 임신 20주 이상, 500g        

                   이상, CRL 25cm 이상

- 유산 abortion : 임신 20주 전 또는 500g 이하의 배아나 태아의 배출

- 출생 live birth : 태아가 숨을 쉬거나, 심장의 고동, 또는 수의근의 명확한 운동과 같이 생명의 징표가 있는 경우

- 사산 still birth, fetal birth : 생명의 징표가 없는 출산

- 출생률 birth rate : Live birth/1000 population

- 합계 출산율 : 한 여성이 가임기간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

- 출산율, 생식률 fertility rate

     Live birth/1000 female aged 15~44

- 신생아 사망 neonatal death : 조기 신생아사망 + 후기 신생아 사망

    조기 early : 생후 7일 내에 사망

    후기 late : 생후 8일부터 29일 이전의 사망

- 사산율 still birth rate, fetal death rate 

    Still birth/ 1000(still birth + live birth)

- 주산기 사망률 perinatal mortality rate

    Still birth + neonatal birth/1000 birth

- 만삭아 : 임신 37주~42주 출생

- 조산아 : 임신 37주 이전 출생

- 저체중 출생아 : 출생체중 < 2500g

- 극소체중 출생아 : 출생체중 < 1500g

- 초극소체중 출생아 : 출생체중 < 1000g

- 간접모성사망 : 직접적 산과적 원인이 아닌 것으로서 임신 전 지병 또는 임신, 분만,  산욕기 중에 발병한 것이 임신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악화된 질병에 의한 사망

- 직접모성사망 : 임신, 분만, 산욕기의 합병증이나 부적절한 치료에 의한 모성 사망

- 모성사망비 : maternal death/100,000 live birth

- 모성사망의 원인 

  → 분만 후 출혈, preeclampsia, infection, thromboembolism, cardiomyopathy, other cardiovascular disease

                         (전자간증).        (감염).       (혈전색전증).         (심장근육병증, 심근병증).   (다른 심혈관질환)

- 영아사망 : 생후 1년 내 사망. 원인으로는 출생 전후기 질환이 제일 많음

- 생식사망 reproductive death : 임신에 의한 사망 + 피임법에 의한 사망

 

출처 reference : 25th edition, Williams OBSTETRICS, Mc Graw Hill

                          제5판, 산과학, 대한산부인과학회

                          5th edition, Obstetrics Normal and problem pregnancies, CHURCHILL LIVINGSTONE

+ Recent posts